역대 수상자
THE PAST PRIZE LAUREATES
제2회 이호철통일로문학상 수상작가
사하르 칼리파 (Sahar Khalifeh) (1941~ )
사하르 칼리파(Sahar Khalifeh)는 현대 팔레스타인문학을 대표하는 여성 작가로서, 점령지뿐만 아니라 전 아랍권은 물론, 온 세계를 전전하는 소위 망명인의 고향인 팔레스타인의 문학까지를 포함해서도 가장 대표적인 소설가라 할 수 있다.
사하르 칼리파는 1941년 요르단 강 서안의 나블루스 시에서 태어났다. 어린 나이에 아랍의 전통적인 형식에 따라 소위 ‘장님 결혼’을 하였고, 13년간의 고통스러운 결혼 생활을 청산한 이후에는 여성운동과 소설 쓰기에 전념했다. 뒤늦게 라말라의 비르제이트 대학을 졸업한 그녀는 1988년 미국 아이오와대학에서 여성학 및 미국 문학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그 후 팔레스타인에 돌아와서 나블루스에서 여성문제연구소를 개설,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사하르 칼리파의 소설들은 『우리는 더 이상 너희들의 노예가 아니다』 (1974), 『실재하지 않는 여인의 고백』 (1986)처럼 철저한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여성 문제만을 중점적으로 다룬 작품과 『가시 선인장』 (1976), 『해바라기』 (1980)와 같이 민족해방투쟁이라는 조국의 현실을 주제로 하면서 여성문제를 함께 조명하는 작품들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후기로 갈수록 여성주의 시각이 더욱 심화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작가의식의 변화는 무엇보다도 작가가 1970년대 중반부터 요르단 강 서안과 가자지구에서 벌여오고 있는 여성인권운동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녀의 출세작 『가시 선인장』은 1967년 6월 전쟁에서 아랍 측의 패전으로 인해 이스라엘의 점령 아래 놓이게 된 1970년대 초 요르단 강 서안의 나블루스 시를 배경으로 한다. 소설은 점령이 팔레스타인 사회에 가져다 준 구조적 변화와 그 변화에 대응하는 인물들의 다양한 사회의식과 행동유형을 보여주고 있다.
이 한 권의 소설로 그녀는 향토를 상실하고 이스라엘 점령 아래 신음하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분노의 일상을 외부세계에 생생히 전달하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그녀의 작품은 비단 억압적인 점령 현실을 폭로하고 고발하는 데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다. 그녀가 민족해방운동에 관심을 기울이면 기울일수록, 그 관심은 아랍사회의 가부장적 현실이 빚어내는 모순을 드러내는 작업으로도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그녀는 말할 수 없는 자들로 하여금 말하도록 하는 탈식민주의 글쓰기의 한 전형을 보여준다고도 하겠다.
사하르 칼리파의 많은 작품들은 영어, 히브리어, 이태리어, 불어, 독어, 네덜란드어 등 많은 외국어로 번역·출판되었다. 우리나라에도 『가시 선인장』 (2005, 송경숙/한국외대출판부)을 시작으로 『유산』 (2009, 송경숙/아시아), 『뜨거웠던 봄』 (2016, 김수진/케포이북스), 『형상, 성상, 그리고 구약』 (2016, 백혜원/케포이북스)이 차례로 번역 소개되었다. 그녀는 2006년 『형상, 성상, 그리고 구약』으로 아랍문학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나깁 마흐푸즈 문학상을 받은 것을 비롯하여, 알베르토 모라비아 이탈리아 번역 문학상과 모로코의 모하메트 자프자프 문학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2006년과 2009년 두 차례 한국을 방문한 바 있다.
제2회 이호철통일로문학상 특별상 수상작가
송경동 (Song Kyung-dong)(1967~)
송경동은 1967년 전남 벌교 태생으로, 2002년 『실천문학』과 『내일을 여는 작가』를 통해 공개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90년대 초반부터 20여 년간 구로공단에서 <구로노동자문학회>, 진보생활문예지 『삶이보이는창』등을 중심으로 노동운동, 문화운동, 사회운동에 함께 해 왔다. “시인·소설가가 되는 것보다 먼저 철저한 민주주의자가 되어야 한다.”는 해방 전후 시인 유진오의 말을 따라 ‘시를 몸으로 먼저 살아온 청년’이었다.
현실 사회주의권의 붕괴 이후 소수화되거나 실종되었던 ‘노동 문학’, ‘저항 문학’의 희미한 맥을 온몸으로 이으며 새로운 리얼리즘의 현재성을 획득한 시인으로 기억된다. 과거의 낡은 리얼리즘적 교조와 문법을 벗어나는 그의 글쓰기는 지금 - 여기의 여전한 모순과 신음과 고통에 대한 민중적·사실주의적 묘사와 풍자와 해학, 전복을 곁들인 그의 역사적 낙관주의에서 더욱 힘을 발한다. 그의 시들은 ‘한국 노동자계급의 보편적 비망록’으로도 읽힌다.
그렇게 그의 시들은 우리를 자주 ‘적대와 갈등이 첨예한 장소’로 이끌되, 그곳에 존재하는 ‘계산할 수 없는 친밀성과 같은 사랑과 유대의 감각’을 보여줌으로써 또 다른 공동체성을 환기하는 힘을 갖는다. 평택 미군기지 이전확장반대, 기륭전자 비정규직 투쟁, 용산 철거민 참사 진상규명, 한진중공업 희망 버스, 세월호 진상규명, 그리고 근자의 박근혜 퇴진 광화문 캠핑촌 투쟁 현장에 조직 활동가로 함께 한 그의 ‘삶 자체가 자본주의적 착취체계를 비약적으로 뛰어넘으면서 저 미래의 유령을 불러오는 시’ 그 자체였다는 평가다.
시집으로 『꿀잠』, 『사소한 물음들에 답함』, 『나는 한국인이 아니다』를 펴냈고, 옥중 산문집이었던 『꿈꾸는 자, 잡혀간다』가 있다. 천상병 시상, 신동엽 문학상, 구본주예술상, 고산문학대상, 아름다운 작가상 등과 김진균 학술상, 민주언론상 특별상, 5·18 들불상 등을 수상하며 문학과 삶의 일치를 실천하는 드문 시인이다.